
대화컷신은 게임에서 스토리를 진행하는 좋은 방법이다.간혹 원신이나 명조 처럼 오픈월드 게임은 대화컷신 연출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긴 하지만,옛날부터 지금까지 쭉- 대화컷신은 가장 친숙한 게임 스크립트 연출 방법이다. 예전에 많은 개발팀들은 대화컷신 제작을 테이블만 사용하여 구현했었다.특히 인디게임, 소규모 개발사의 미연시 같은 경우는 테이블을 참조하는 로직까지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그나마 VBA로 구도 시뮬레이션 돌리는 정도. 단, 이 경우에 생기는 이슈가 있다면?팀이 사용하는 형상 관리 툴에 따라선,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붙어 작업하기 힘들다.제작한 연출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의도와 다르게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그렇다보니 소소한 폴리싱 작업만 해도 꽤나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다. 이러..

2D 게임에서는 캐릭터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이모티콘 연출이 자주 사용된다.예를 들어, 2021년에 출시된 ‘블루 아카이브’에나 2023년에 출시된 '트릭컬 리바이브'에서는캐릭터 머리 위에 느낌표나 물음표 같은 기호를 띄워 감정을 직관적으로 전달했다.이모티콘 연출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심볼릭, 이모션 아이콘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물론, 모든 2D 게임이 이모티콘 연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특히, 게임의 톤과 분위기에 무게감이 있을 경우, 이모티콘과 같은 심볼릭 연출이 오히려 몰입감을 해칠 수 있다. 이처럼, 2D 게임들은 각자의 세계관과 연출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감정 전달 방식을 찾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3D 서브컬처 게임의 경우는 어떨까? 나는 게임의 분위기와 관..